문화 리뷰/영화 리뷰

티니핑을 모르는 어른의 사랑의 하츄핑 감상 - 나만의 티니핑 테스트

개미 핥기 2024. 10. 2. 18:14
728x90
반응형

"어른들이 애들이랑 같이 보러 갔다가 울고 나오는 영화래"

이런 말 애인을 설득해서 '사랑의 하츄핑'을 보기 위해 영화관을 방문했다.

영화관에 들어가니 젊은 커플 따윈 없었다. 아이들과 그들을 데리고 온 보호자들만 있을 뿐이어서 뭔가 민망하기도 했다.

우리는 티니핑이 뭔지도 모르고 스포일러가 싫어서 사전 정보도 전혀 모르는 채로 영화를 감상했다. 우리 같은 사람들이나 '정말로 어른들이 보고 울어?' 라는 궁금증 가진 분들은 이 리뷰를 참고하시길.

 

※영화를 보지 않은 분들에게는 스포일러가 될 수 있으니 주의 부탁드립니다


 

티니핑의 설정을 전혀 모르는 상태로 감상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전형적인 아이들 만화 스토리다.

로미 공주는 자신의 파트너 티니핑을 찾고 있는데 번번이 실패한다.

그러던 중 우연히 도서관 책에서 본 '하츄핑'이라는 티니핑을 알게 되어 첫눈에 반하게 된다.

하츄핑은 저주받아 티니핑들이 이상한 몬스터가 되어있는 지역에 있었고,

모두의 반대를 뒤로하고 로미 공주는 하츄핑을 찾으러 여행을 떠난다.

그렇게 힘들게 만난 하츄핑은 인간에 대한 두려움으로 로미를 멀리하지만,

노래와 뮤지컬을 곁들인 엄청난 구애 끝에 하츄핑의 설득에 성공하고,

빌런 티니핑에게 대항한다는 스토리를 가지고 있다.

주인공 로미 공주
우연히 책에서 발견한 티니핑 '하츄핑'
뮤지컬 노래가 곁들인 하츄핑을 향한 어마어마한 구애

 

가장 궁금한 사항은 이걸 것이다.

'진짜 어른들이 봐도 감동해요?"

결론은 좀 애매하다. 우리는 전혀 감동하지 않았다.

어른들이 봐도 감동한다는 포인트에 기대감을 잔뜩 가지고 가면 절대 감동 못한다.

부모들이 감동한 것은 애들 때문에 억지로 보러 와서 전혀 기대를 하지 않았다가

의외의 감동 포인트를 맞이해서 그런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다만 노래가 정말 좋아서 은은한 중독성이 있다. 집에 와서도 계속 듣게 된다.

그리고 티니핑에 대한 대화가 드디어 가능해진다.

하츄핑이 굉장히 귀엽다.

 

 

사랑

이 영화에서 나오는 사랑은 단순히 연인 간의 사랑이 아니라,

'나만의 파트너'끼리의 사랑인 것 같다.

부모들이 감동을 보인 포인트를 보니 로미가 처음 하츄핑을 만나

자신의 파트너로서 인지하고 사랑에 빠지는 장면이 나오는데,

어른들이 처음 자기 아이를 가졌을 때의 감정과 비슷하다고 한다.

아마 어른들이 보고 감동을 받은 포인트 중 하나이지 않을까 싶다.

 

사랑은 오래 참고 기다린다는 것이라는 것을 몸소 보여주는 로미 공주

 

강한 여성상

영화를 보는 내내 철인삼종경기를 다 쌈싸먹을 듯한 로미 공주의 행보에 감탄하게 된다.

전속력으로 등산을 하여 결국 상대방을 이기는 것은 물론이고,

말과 같은 속도로 뛰다가 그 말 위에 올라타는 엄청난 피지컬을 영화 내내 뽐낸다.

솔직히 사랑이란 주제보단 로미의 강철 체력이 더 강렬하게 기억에 남는다.

만화적 허용하에 이루어진 비현실적인 10살짜리 여자아이의 체력이라 그런 듯 싶다.

그 밖에 백마 탄 왕자 컨셉을 비튼 '백마로 변신하는 왕자'도 신선하게 다가온다.

백마 탄 왕자가 아니라 백마로 변신한 왕자에 올라탄 체력 좋은 공주라는 컨셉은 신선했다.

 

하츄핑이 MBTI처럼 감정에 대한 캐릭터라는 점과,

인간과 1:1 파트너를 가진다는 컨셉에서 '나의 티니핑' 테스트가 유행하고 있다.

요즘 대화를 할 때 '너는 짜증핑, 나는 열심핑'이라는 등의 대화를 카페에 가면 심심치 않게 듣게 되는 것 같다.

예전에는 MBTI 대화가 이런 식으로 돌았던 것 같은데 티니핑이 인기를 끌면서 점점 추세가 변해가는 것 같다.

 

https://poomang.com/t/ping_test

 

나만의 핑 테스트 링크를 첨부하니 다들 해보시길!

가벼운 MBTI 테스트를 하는 것처럼 연인이나 지인들과 같이 해보고,

서로가 '너는 무슨 핑이네~' 같은 담소를 나누면서 대화를 즐기기에 좋다.

영화를 보고 티니핑에 대해 아는 상태로 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

728x90
반응형